3.10.2 패치를 통해 벌칸(Vulkan) 렌더러의 베타 버전이 배포되었습니다. 벌칸 렌더러는 특히 CPU 로드가 높을 때 DirectX 11 렌더러보다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합니다.

지난 몇 년간 저희는 패스 오브 엑자일 엔진이 사용하는 멀티쓰레딩(multithreading)의 양을 늘려왔으며, 이로 인해 고사양 CPU의 성능을 이전 대비 더 활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현재 사용하는 다이나믹 쉐이더 시스템으로 인해 게임 진행 중 쉐이더 업로드가 자주 발생하며, 게임 실행이 멈추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DirectX11 백엔드에서는 쉐이더 업로드가 백그라운드 쓰레드에서 진행되지만, GPU가 쓰레드를 사용하기 전에 그래픽 드라이버(AMD/Nvidia/Intel layer)가 먼저 쓰레드를 사용해버립니다. 이로 인해 CPU 사용량이 높을 때에는 자체 쓰레드의 리소스가 부족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메인 쓰레드에서 드라이버를 처리하여 게임 실행이 중단되는 일도 발생합니다. 아이러니하게도 더 빠른 프레임 속도를 위해 몇 년간 추가한 멀티쓰레딩으로 인해 전체 CPU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증상이 악화되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다행히, 벌칸을 적용하는 대안이 나왔습니다. 여러 방안 중에서도 이 렌더링 API로 인해 모든 함수 호출(function call)을 완전한 관리 하에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와 함께 그 동안 관리하기 어려웠던 DirectX11 그래픽 드라이버 정지 문제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번 패치는 서버 관련 요소가 없기 때문에, 서버 재시작 없이 적용 되었으며 패치 적용을 위해서는 클라이언트 재시작이 필요합니다. 새로운 셰이더로 인해 패치 용량이 적지는 않은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추가된 렌더러를 체험하시려면 그래픽 옵션에서 렌더러 설정을 ‘벌칸(베타)’로 변경하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설정 변경 후 패스 오브 엑자일을 재시작할 필요 없이 바로 적용됩니다.

벌칸 렌더러는 기존 대비 눈에 띄게 그래픽 카드 성능을 향상 시키지는 않지만, 서두에 안내드린 것 처럼 CPU 로드가 높을 때 DirectX 11 렌더러보다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합니다. 기본적으로 신규 렌더러는 리소스 관리 및 제어를 통해 패스 오브 엑자일의 요구 사양에 맞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번 렌더러는 기존 DirectX 11 렌더러보다 시스템 상 약간 느릴수 있습니다. 다가오는 3.11 리그 출시에 맞춰 이 부분을 개선하기 위해 안정성 테스트 및 프레임 속도 향상 관련 최적화를 최우선으로 작업하고 있습니다.

추가로 벌칸 렌더러를 사용하실 경우 3gb 미만의 그래픽 메모리가 있는 시스템에서 텍스처 품질을 “중간”으로 강제 적용합니다. 이로 인해 GPU와 시스템 RAM간 텍스처를 이동시키는 도중 발생할 수 있는 강제 종료 등의 문제를 피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일련의 내용은 가능한 한 최대의 성능을 끌어내기 위해 지속적으로 진행해왔던 작업입니다. 벌칸 렌더러에 담겨 있는 기본적인 철학은 프레임 안정성을 통해 모든 분 께서 비정상 종료 및 지연 현상 없이 패스 오브 엑자일을 즐기실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물론 화면에 표시되는 수량이 적을수록, 또한 더 좋은 그래픽 카드를 사용할 수록 성능은 더욱 향상됩니다.

현재 제공된 렌더러는 베타 버전으로 이용 중 확인되는 문제는 고객센터를 통해 문의 접수 부탁드립니다. 베타 렌더러에서 여러분의 하드 코어 캐릭터가 소모되지 않도록 캐릭터 활용에 유의 부탁드립니다. 고객 센터를 통해 접수된 제보들은 최대한 빠르게 해결하여 3.11 리그 출시와 함께 보다 나은 환경을 제공하여 패스 오브 엑자일의 기본 렌더러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벌칸 렌더러 적용 후 게임이 시작되지 않을 경우, Documents\My Games\Path of Exile에서 production_Config.ini file을 통해 renderer_type=Vulkan 에서 renderer_type=DirectX11으로 수정 및 변경 하시기 바랍니다.

렌더러 테스트에 도움을 주셔서 감사드리며, 많은 피드백 바랍니다!
글 작성자: 
카카오게임즈

게시판 글 신고

신고 계정:

신고 유형

추가 정보